Page 32 - 신재생에너지가이드2023e_book
P. 32
인 · 사 · 말
러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보다 강조 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과
경기부양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우리 정부는 ’22년 6월 『새정부 에너지 정책방향』을 시작으로, ’23년 1월『제10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
과 같은 굵직한 계획들을 내놓으며, 실현가능한 수준에서의 제도적 기반을 재정비하며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는 세계적인 흐름과 정부의 정책기조에 발 맞춰 신·재생에너지 보
급 확대 및 산업 육성 정책 수립 지원에 힘쓰고 있습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설비 KS인증, 산업기반 구
축, 해외진출기업 지원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주택·건물·융복합·지역 대상 다
양한 보급사업과 공공기관 설치의무화 제도, 대규모 태양광·풍력 프로젝트 발굴 및 관리, 공급의무화제도
(RPS) 및 교육·홍보 사업 등을 운영하며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재생에너지사용 인정제도(K-RE100) 운영 전담기관으로 선정, 국내 기업의 “ESG 경영
확산”을 선도하고 있으며, 집적화 단지 도입 등 국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제도로 전환하여 각종
보급 장애요인 해소를 위한 규제 개선, 제도 정비 등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산업 육성의 일선에서
최선을 다하며, 국민과 기업의 든든한 파트너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2023년 4월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
유 휘 종

